본문 바로가기
[TOEFL] 토플 공부의 모든 것

[토플iBT배경지식]LC '정치'관련 용어 및 배경지식

by swtmoment 2020. 3. 25.
728x90

 

 

 

 

▶ 정치

 

1. Capitalism 자본주의

단어
Industrial Revolution 산업혁명
capitalist 자본가
abuse 남용하다
hands-off policy 간섭배제정책
reformer 개혁가
political economist 정치경제학자
founder 창시자

 

 

 

2. Communism 공산주의

 

초기 산업사회를 비평하는 사람들은 마약 재산의 개인적인 소유가 없다면, 노동자들의 고통은 끝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만일 재산을 모든 인민들이 공유한다면, 사회의 부담과 혜택을 모두 똑같이 나눠 가지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이 제도를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용어들인 socialism/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라고 불렀다.

 

일부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소련 공산주의 모델은 결국 실패로 드러났다. 부분적으로 이것은 경제 발전과 national interests/국익에서 크게 다르고 이 국가들을 dominate/지배하려는 소련의 노력에 대해 resent/분개한 공산국가들 간의 투쟁 때문이기도 하였다. 1980년대 후반에는 공산당 지도자이자 나중에 소련 대통령이 된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 아래서 새로운 소련 지도자들은 far-reaching/광범위한 경제, 정치 개혁을 기도하였다. 이것은 재빨리 동유럽 공산국가들에 퍼졌고 그곳에서, 1989년과 1992년 사이에 공산 regime/정권과 state-controlled/국가 통제 경제는 elected government/선출된 정부와 free-market system/자유 시작 체제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소련에서는 경제개혁이 실패하고 많은 다른 민족들 사이에 nationalism/민족주의 surge/물결이 일어나, 1991년 말에 breakup/국가의 분열로 이어졌다.

 

 

 

 

 

 

3. Court 법원

 

법원의 civil/민사와 criminal/형사 두 가지의 dispute/분쟁을 다룬다. 민사사건은 두 시민간의 분쟁이다. civil suit는 법원은 누가 옳은지를 결정해야 하는 소송이 있고 또 사고에서 발생하는 소송이 있다. 한편, 형법은 공공의 문제이다. 여기서 손상은 사회 전체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형사사건에서 유죄가 입증되면 사람들은 거의 감옥에 가지만, civil suit/민사 suit/소송에서는 아주 드물다.

 

법률용어
judicial decision  판결
precedent 판례
judge 재판장
written code 성문법
jury 배심원단(12명)
juror 배심원(개인)
grand jury 대배심(23인 이하)
civil law country 시민법 국가
written promise 각서
sue 소송하다
plaintiff 원고(=the accuser)
jail 감옥
convict 유죄를 선언하다
accuse 고소하다
affirm 확정 판결하다
appeal  상소
bail 보석(금)
case 사건
complaint 원고의 최초 진술
defendant 피고(=the accused)
indictment 기소
pleadings 소장, 탄원서
prosecutor 검사
reverse 취하하다
testimony under oath 선서 증언

 

 

 

배심원이 모든 증언을 들은 후, 판사는 배심원에게 사건에 적용되는 법률을 instruct/설명해 준다. 이것을 배심원에 대한 'courts charge/법원의 설명'이라고 한다. 하나의 배심에는 이 12명의 시민들이 그 사건에 심판이 된다. 그들은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판단해야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형사사건에서 유죄나 무죄냐 또는 민사사건에서 필요한 모든 법률을 그들에게 말해 준다. 설명이 끝나고 배심원들은 법정을 떠난다. 배심원실에서 그들은 사건을 의논하고 마음을 정하고 verdict/평결을 내리기 위해 심리한다. 미국에서는 어떤 사람이 유죄판결이 증명될 때까지는 무죄로 간주됨을 그들은 기억해야 한다. 배심원 한 사람이라도 피고의 유죄에대해 'reasonable doubt/이유있는 의심'을 가지고 있는 한 innocent/무죄는 평결되어야 한다. 형사사건에서 배심원 모두가 합의해야 한다. 민사사건에서는 'strong majority/절대다수'면 충분하다. 때때로 배심원들은 금방 reach a verdict/평결을 내리고, 어떤 때는 며칠씩 걸린다. 배심원들이 끝내 합의를 하지 못하면, 그 배심원은 hang/보류된다. 그러면 다른 배심원 앞에서 그 사건은 다시 jury trial/심리된다. 

 

 

 

4. Democracy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정치형태가 아니라 정치 철학이다. 미국은 republican/공화정 형태의 민주주의다. 공화국은 국가의 선출된 수장, 대통령을 가지고 있다. 영국고 민주 국가이다. 그러나 monarchy/군구국가이기도 하다. monarch/국가원수 혹은 hereditary/세습 통치자인 왕이나 여왕이 있다. 양국 모두 국민의 representative/대표들을 자유선거에서 뽑는다.

 

 

 

 

 

 

5. Disarmament 군축

 

종합적 군축이란 하나도 남지 않을 때까지 armed forces/병력과 무기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것을 뜻한다. 종합적 군축을 함에 있어 미국과 소련의 차이는 주요 세 가지 문제에 집중된다. 이 문제들은 균형과 inspection/사찰, 군축 중이나 향후의 평화 유지 방법이다. 균형은 어느 쪽도 군사적 유리함을 결코 얻지 못하는 방식의 군축을 의미한다.

 

미국과 소련은 균형이 되어야 함에는 동의하였다. 그러나 과거에는 각자 다른 쪽의 제안들이 그 쪽에 유리함을 준다고 믿었다. 의견 불일치의 두 번째 요점인 사찰에 대해 미국은 양쪽이 다른 쪽이 군축을 하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련은 양국이 완전히 군축을 한 뒤에만 사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오래 동안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축 중이나 후의 평화 유지에 대해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 미국은 병력이 감축되면서 세계 평화와 안녕이 보호될 것이란 점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항구적인 기구를 원했다. 소련은 군축에 대한 어떤 국제적인 통제의 개념은 동의하였으나, 항구적인 기구를 만드는 생각은 싫어하였다.

 

 

 

6. Elections 선거

 

고대 Hebrew/히브리와 그리스 시대부터 사람들은 자신들의 지도자를 뽑는 권리를 위해 tyranny/폭정과 싸워 왔다. 이스라엘이 초기 왕들은 고대 그리스 군대의 장군들이 그랬던 것처럼 선출되었다. 기원전 401년에 크세노폰의 유명한 소아시아 행군은 겁 없는 그리스 병사들에 의해 그가 장군에 선출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추적해 오고 있는 페르시아 무리들의 그림자가 드리운 상황에 처해 있는 동안 자신들의 새로운 지도자를 뽑기 위해 투표하였다. 

 

북유럽의 튜튼족은 자신들의 지도자로 가장 용감한 사람을 선출하였다. 자신들의 지도자를 자유로이 선출하는 이 관습은 1,500년 전 앵글로색슨 정복자들에 의해 영국에 전해졌다. 이렇듯, 지방 공직자를 뽑은 suffrage/투표권은 영국적 사고의 일부가 되었고, 초기 영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미국에 전해졌다.

 

단어
pursue 추적하다
horde 무리, 떼
amendment 수정, 개정
ratify 비준하다, 재가하다

 

 

 

 

 

7. Emancipation Proclamation 노예해방 선언

 

노예 Emancipation/해방 선언은 미국 역사에서 전환점일 뿐 아니라 남북전쟁에서도 전환점이었다. 전쟁의 마지막 2년간 수 천명의 노예들이 주인들 손에 남아 있었다. 약 20만의 흑인들이 The Union/북부 연방 군에 가담하였다. 유럽에서는 The confederacy/남부 동맹군에 지원하자는 말이 끝났다. 드디어, 1865년 4월 9일에 남부 동맹군은 북부 연방군에 surrender/항복하였고 미국 남북전쟁은 끝이 났다.

 

전쟁이 끝나고 링컨 대통령이 assassinate/암살된 8개월 후, 1865년 12월 18일에 제 13차 개정 헌법이 비준되어, 노예제도는 미국에서 불법이 되었다. 비록 링컨은 자신의 선언이 법률로 되는 것을 살아서 보지는 못했지만 그는 노예들을 해방한 사람, 위대한 해방가로서 오늘날도 기억되고 있다.

 

 

 

 

 

 

Studying TOEFL changes your life

댓글